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node js
- node.js
- 스트림
- Spring
- SESSION
- prisma timezone
- tomcat
- 스트리밍
- Stream
- 노드 스트림
- java
- 구현
- node 스트림
- 자바스크립트 시간 조절
- javascript
- 흐름 모드
- 동영상 스트리밍
- Date
- prisma
- node
- 번역
- javascsript
- node stream
- prisma 시간
- 자바스크립트 시간
- servlet
- nodejs
- jsp
- 일시정지 모드
Archives
- Today
- Total
벤권의 개발자 이야기
[Spring] XML/어노테이션을 통한 객체의 적절한 Bean처리 본문
객체를 빈(Bean)으로 등록할 때 XML 설정을 통해 할 수 있기도 하고 어노테이션을 통해 간단하게 처리를 할 수 도 있다.
그렇다면 언제 XML 설정을 통해 하는 것이 좋고 어느 경우에 어노테이션으로 처리하는게 좋을까?
이에 대한 기준은 코드를 직접 수정할 수 있는가로 판단하면 된다.
jar로 추가되는 클래스들은 직접 개발자가 수정할 수 없다. 따라서 이런 경우엔 어노테이션을 직접 추가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XML설정에서 직접 <bean> 태그를 이용하여 처리하고, 직접 작성되는 클래스는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는 것 이 좋다.
'-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MyBatis를 쓰면 좋은 점 (5) | 2023.11.20 |
---|---|
[Servlet] 필터(Filter) 적용 (4) | 2023.10.03 |
[Servelt] Session, 세션 저장소, 세션 컨텍스트 (2) | 2023.10.01 |
[톰캣서버 인스턴스 중지에러] 불허되는 접근: 이 웹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는 이미 중지되었습니다 을(를) 로드할 수 없습니다 (5) | 2023.09.18 |
개인 공부를 시작 (2) | 2023.09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