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node
- nodejs
- node js
- prisma
- tomcat
- java
- 노드 스트림
- Date
- servlet
- node stream
- 구현
- 스트림
- javascript
- SESSION
- 동영상 스트리밍
- prisma 시간
- jsp
- Stream
- 번역
- prisma timezone
- 일시정지 모드
- node.js
- Spring
- 자바스크립트 시간
- 스트리밍
- node 스트림
- 자바스크립트 시간 조절
- 흐름 모드
- javascsript
Archives
- Today
- Total
벤권의 개발자 이야기
[Spring] MyBatis를 쓰면 좋은 점 본문
MyBatis 란
MyBatis는 Sql Mapping Framework라고 표현 되는데 sql mapping 말그대로 sql과 객체를 매핑해준다는 의미이다.
쿼리 결과를 특정 클래스의 객체와 매핑해준다.
MyBatis를 쓰면 생기는 이점
- PreparedStatement/ResultSet의 처리 - 기존에 PreparedStatement를 통해서 파라미터를 하나하나 처리해야하고 ResultSet의 getXXX() 함수를 통해 일일이 쿼리 결과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알아서 MyBatis가 처리해주기 때문에 많은 양의 코드를 줄일 수 있다.
- Connection/PreparedStatement/ResultSet의 close()처리 - MyBatis를 사용하면 기존에 사용하고 직접 close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해주기 때문에 close()를 미처 빼먹거나 하는 실수 등을 걱정할 필요 없다.
- SQL분리 - Mybatis를 사용하면 별도의 파일이나 어노테이션 등을 사용해서 SQL을 선언하는데, xml파일과 같이 별도로 SQL만 파일로 분리해서 관리할 수 있다.
'-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XML/어노테이션을 통한 객체의 적절한 Bean처리 (6) | 2023.11.14 |
---|---|
[Servlet] 필터(Filter) 적용 (4) | 2023.10.03 |
[Servelt] Session, 세션 저장소, 세션 컨텍스트 (2) | 2023.10.01 |
[톰캣서버 인스턴스 중지에러] 불허되는 접근: 이 웹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는 이미 중지되었습니다 을(를) 로드할 수 없습니다 (5) | 2023.09.18 |
개인 공부를 시작 (2) | 2023.09.10 |
Comments